2008년 06월 28일
PD수첩 오역아니다!!!! /by 이웃
http://seoprise.com/board/view_nw.php?uid=129857&table=seoprise_11
농림부의 협상문에서 오역...Unless야 말로, 협상내용을 바꾸어버리는 크나큰 오역사건일진데, 단순한 영어실력의 문제로 덮어버리더니.. Downer의 의미를 오역했다고 난리를 치길래, 글을 올립니다.
올해초 Downer 소에 대한 비디오가 유포된 이후, 미 정부는 Downer소에 대한 작업자들의 비인간적인 행위에만 비난을 하며, 서둘러 사건을 무마하려 합니다.
역사상 최대규모의 "소고기 리콜" 을 단행했는데, 대부분 이미 미국인들의 뱃속에서 소화되었다는 아이러니가... 미국도 뉴스빨이 장난이 아니죠.ㅎㅎ
---> 자.. 그렇다면 Downer가 리콜과 무슨 상관?
한마디로 Downer Cow를 "단순히 쓰러지는 소"로 직역하는것은, 미정부의 대량 리콜을 설명해 줄수 없다는 겁니다.
USDA(미농림부)가 "식품안정성"의 테두리 내에서 Downer Cow를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죠. 그들이 비난했던 "비인간적 취급"때문에 리콜한게 아닙니다.
---> Downer 과 Mad Cow Disease(=BSE) 의 관계는?
Downer은 가장 기본적으로 "쓰러지는 가축"을 통칭합니다. 근데, 미국에서는 왜 "Downer Cow"를 식품용으로 도축하지말라는 법이 존재할까요? 그냥 넘어졌을 뿐인데...
****
2003년 12월 23일, 미농림부 소속의 병리학자가 소의 뇌를 조사하던 중 "광우병(BSE)"로 판정합니다. FDA와 USDA(농림부)는 역추적을 하고 결과를 밝힙니다.
-미국의 광우병 소는 6살이며, 캐나다에서 4년동안 길러진후 수입된것이다!-
-같이 수입했던 80마리의 다른소는 BSE테스트에서 음성반응이다!-
1997년에 미국FDA는 소에게 동물의 잔해물을 먹이는 것을 금지했는데, 이 광우병소는 그 혜택을 보지못한 소라고 말한다.(97년 이후의 소는 안전하다는 의미내포) 또한, 캐나다산(주로 Alberta산)을 강조하고 있다.
http://www.fda.gov/fdac/features/2004/304_cow.html
이후,
2005년 6월24일 텍사스에 12살짜리 소 광우병판정.
2005년 3월13일 알라바마에 광우병 판정 --->나이정보는 찾지못했다
http://www.cdfa.ca.gov/ahfss/Animal_Health/pdfs/BSE_North_America_Summary_041806.pdf
******
문제는...
소에서 광우병은 3~6년정도의 잠복기를 거치고, 이 기간동안 소의 몸속 구석구석에서 복제된다. 광우병에 걸린소는 "3년정도 이후에, 뇌속으로 병이 전파"되는데, 현재의 기술로는 뇌에 생성된 광우병만 검출할 수 있고, 광우병에 걸린 소라고 할지라도 "뇌에 전이"되지 않은, 즉, 광우병에 걸린후, 3년이 지나기전까진 그 소의 광우병 판정을 위한 방법은 없다는 것이다.
-Maryland 대학교수 지적-
쉬운 예로, 20개월이하의 소가 태어나자마자 광우병에 걸렸다고 하더라도, 3년정도가 지나지 않으면 현재의 기술로 이 소들은 "정상소, 값싸고 맛있는 소" 로 판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30개월 이하의 소에서는 광우병이 잘 발생하지않는 것이 아니라, 광우병 진단기술 자체가 없다는 것이다.(3살이 안된 대부분의 소는 광우병유무를 확인못함) 3년후, BSE가 뇌로 전이되었을때만, 흔히 말하는 "광우병 소"라고 판정하는것이죠.-> 중요한 내용입니다!
**
2003년 말 미국에 광우병 발생이후, 2004년 미 농림부는 모든 Downer Cow의 도축을 금지했습니다. 일어서거나 걷지 못하는 것을(Downer), 광우병의 임상적 표시로 간주했기때문입니다. 뇌검사를 제외한 다른 진단방법이 없으므로...
(한마디로, 미정부조차 Downer Cow를 "광우병 의심소"로 판단했다고 보면 됩니다)
"Downer" 소의 식용도축금지에 관한 미국법은 미국내의 광우병발생이후 조치된 "광우병 통제법률"이며, Downer과 광우병을 동일한 선상에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PD수첩"의 Downer소를 "광우병 의심소"로 발언한 것은 미국의 예를 볼때 상식적인 수준의 발언입니다.
오히려 번역하신분이, Downer의 용어사용에 있어, 미국내에 문제시 되었던 일련의 사건배경을 알지못함으로서, 단순히 "쓰러지는 소" 또는 "다우너"라고 표기하려 했다면, 반드시 그 용어의 의미설명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했을겁니다.
바로, 그 추가 설명에 "광우병 의심 소"라는 내용없다면 오히려 본뜻을 왜곡했다고 지적받을수 있겠구요.
한동안 잠잠하던 무리들이 "오역으로 국민을 기만했다", "순진한 국민을 촛불시위로 내몰았다"라며 PD수첩을 비난하는데... 결코 오역이 아님을 알려드리고 싶으며, Downer이란 단어는 "BSE 가능성이 있는 소"로 번역하는데 있어, 문제가 없습니다. BSE와 Downer이외에 다른 표현을 일반적으로 쓰지않기 때문입니다.
"밥 먹었다"라는 말은 "쌀을 먹었다"가 아니라 "반찬을 포함한 식사를 했다"라는 의미이지요.
PD수첩 화이팅입니다
# by | 2008/06/28 23:23 | 세상사는 이야기 | 트랙백 | 덧글(1)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PD수첩에서 사용했던 다우너소 영상은 광우병이 아니라 그러한 다우너소를 도축해버리는 동물학대 영상이었습니다. 출산해버리자마자 도축하는 비인간적 행위라는 것이었죠. 이러한 것을 광우병으로 의심되게 영상을 옮겼다는 점에서 PD수첩은 틀린 것이 맞습니다.